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택시운전사> 요약 배경 실존인물
2017년 개봉한 장훈 감독의 이 영화는 1980년 광주항쟁을 배경으로 한 가슴 아픈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어떤 가슴 아픈 이야기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화의 요약
1980년 5월, 서울에서 택시기사일을 하며 하나 뿐인 딸과 착실하게 살아가는 만섭을 보여주며 이야기는 시작합니다. 착실히 살아가지만 사글세(집세)가 자그마치 10만원이나 밀려있는 탓에 집주인 아줌마로부터 온갖 핀잔을 듣기 일쑤였던 어느 날, 절친 동수와 식당에서 밥을 먹던 도중 뜻하지 않은 돈벌이 기회를 엿듣게 됩니다. 바로 전라도 광주까지 내렸다가 통금시간 전까지 서울에 다시 도착하면 일당 10만원을 주겠다는 외국인 손님이 하나 있다는 것이였습니다. 만섭은 밀린 사글세를 단번에 갚을 절호의 찬스라고 여기며 손님을 가로채기 위해 밥 먹던 것도 뒤로 미뤄두고 약속한 장소로 달려갑니다. 손님의 정체는 독일 외신 기자 위르겐 힌츠페터로 광주에서 벌어지는 심상찮은 사건을 취재하기 위함이었지만 이를 알 리가 없는 만섭은 짧은 영어 실력을 최대한 발휘하면서 페터를 냅다 차에 태우고는 광주로 달리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무슨 일인지 광주로 들어가는 길목은 도로와 산길을 막론하고 모두 군인들이 차단하고 있었고 간신히 들어온 광주 길거리는 대낮인데도 도로가 난장판이 되어있었습니다. 가게 셔터가 모두 닫혀있는 등 황량하기만 광주에 의문이 가득한 만섭과는 달리 피터는 심상찮은 눈빛으로 이를 열심히 카메라로 찍기 시작했는데 트럭 짐칸에 올라탄 한 무리의 대학생 무리들을 발견합니다. 피터의 영어를 못 알아들어 난감해 하던 대학생들은 그나마 영어를 할 줄 안다는 재식에게 통역을 맡겼고 이때부터 재식은 통역사 역할로 일행에 합류합니다. 이후 재식의 안내에 따라 광주 시위 현장에 오게 된 만섭은 나라를 지켜야 할 군인들이 국민들에게 무차별적인 총격을 가하는 것을 보고 엄청난 충격을 받게 됩니다. 그제서야 피터의 진짜 정체와 광주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게 된 만섭은 돌아가려고 하지만 타고 왔던 택시가 고장 나는 바람에 옴짝달싹 못하는 신세가 됐고 집에 홀로 있을 딸 걱정이 밀려오기 시작합니다. 다행히 우여곡절 끝에 광주에서 빠져나가지만 만섭은 시장에서 잔치국수를 먹다 신문에 거짓기사가 난 것을 보고 고민하다 다시 광주로 돌아가 사람들을 도우러 가게 되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입니다.
스토리의 배경
영화는 1980년대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과 군사정권의 어두운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을 통해 한국의 사회 정치적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영화의 모티브가 된 사건은 5.18 민주화운동, 5.18 광주 민주화운동, 광주 민주화운동 또는 광주민중항쟁은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전라남도 광주시 일원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에 대하여 군부 등에 의한 불법적 헌정질서 파괴범죄와 부당한 공권력 행사로 다수의 희생자와 피해자가 발생한 사건입니다. 넓게 보면 1979년 12.12 군사반란 직후부터, 좁혀 보면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전두환 등 신군부를 비롯한 쿠데타 세력이 내란과 폭동을 저지르고 이에 저항한 무고한 광주 시민들을 학살한, 시민과 계엄군 모두에게 평생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긴 사건입니다. 영화는 이 시기에 일어난 일을 모티브로 하여 전두환의 권위주의 정권에 항의하기 위해 시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는 정치적 불안과 계엄령의 시기에 펼쳐집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김만섭이라는 인물은 정치적 격변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서민들의 상징으로 등장합니다. 그의 눈을 통해 우리는 혼란과 억압 속에서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평범한 시민들이 직면한 가혹한 현실을 목격합니다. 택시 운전사 만섭의 일상적인 고군분투와 사회 정치적 혼란을 병치하여 개인의 삶이 더 큰 역사적 사건과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주인공의 실존인물
영화의 핵심은 주인공인 김만섭과 토마스 크레취만이 연기한 독일 기자 위르겐 힌츠페터의 관계입니다. 만섭이 마지못해 힌츠페터를 광주까지 태워다 주기로 한 뒤, 두 사람의 여정은 두 인물에게 변화의 계기가 됩니다. 만섭은 처음에는 이 일을 단순한 금전적 이득을 위한 기회로 생각하지만, 광주에서 군사 정권이 저지른 잔혹 행위를 목격하면서 그의 생각은 크게 변화합니다. 마찬가지로 힌츠페터 역시 처음엔 냉소적이던 태도가 광주항쟁의 진실을 기록하는 일에 개인적으로 몰입하면서 깊은 책임감으로 바뀌게 됩니다. 두 사람의 변화하는 관계는 영화의 격동적인 사건 속에서 감정적인 닻 역할을 하며 관객들에게 인간적인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실제로 이 둘은 실존 인물로 5.18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세계에 알린 독일인 기자 위르겐 힌츠페터와, 그와 함께 한 택시운전사 김사복씨의 이야기를 재구성했습니다. 영화 속에서는 김만섭이 영어를 잘 구사하지 못하지만 실제로는 김사복씨는 유창한 영어 실력으로 힌츠페터에게 당시 광주의 상황을 설명해 주었다고 합니다. 또한, 실제로 김사복과 힌츠페터의 사이는 좋았으며, 격한 언쟁과 몸싸움을 하는 일은 없었으며 영화에서는 힌츠페터가 광주를 취재하는 유일한 외국인 기자로 나오는데, 사실 힌츠페터 외에도 뉴욕타임스, AP 통신에서 온 기자들도 있었다고 합니다. 실화와 영화에서 재구성 된 이야기에 다른 점이 조금씩은 있어 차이를 비교해보며 시청하는것도 영화의 재미를 더 할 수 있습니다.
댓글